브라질 연구팀, 저소득층 산모와 자녀 352쌍 추적 연구 산모의 아동기 역경, 남아 체중 증가 속도 영향 과체중 위험 신호, 조기 개입 필요성 시사 임신 중 산모의 스트레스가 아이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. 그러나 산모의 어린 시절 트라우마가 출산 후 자녀의 신체 발달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. 특히 이번 연구는 그 영향이 자녀의 성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췄다. 브라질 상파울루 연방대학과 미국 컬럼비아 대학 등 공동 연구팀은 브라질 남부 저소득층 가정의 산모와 생후 2개월 미만의 신생아 352쌍을 대상으로 추적 관찰을 진행했다. 산모들은 출산 직후 병원에서 아동기 외상 경험(ACEs: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) 여부에 대한 설문에 응했으며, 신생아의 신체 계측은 출생 시점과 생후 약 8주 시점에 각각 이뤄졌다. 이를 바탕으로 출생 후 60일간의 체중 증가 속도가 분석되었다. 산모의 ACEs 점수는 정서적 학대, 신체적 방임, 가정 내 중독 문제, 성적 학대 등 10가지 항목을 기반으로 평가되었으며, 경험 유무에 따라 0~10점으로 산정되었다. 그 결과, ACEs 점수가 높을수록 남자아이의 체중 증가 속도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. 하루 평균 체중 증가량은 점수 1점 증가당 약 1.82g 늘었으며, 이는 여자아이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았다. 연구팀은 이러한 성별 차이를 설명하는 생리적 기전으로 태아기 스트레스 노출에 대한 남아의 높은 민감도를 제시했다. 기존 연구에 따르면, 남아는 태내 환경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,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경향이 있다. 이에 따라 어머니의 트라우마가 HPA 축(Hypothalamus–Pituitary–Adrenal axis) 활성이나 태반 기능에 영향을 줄 경우, 남아의 대사 조절 시스템에 장기적인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진의 해석이다. 연구의 제1 저자인 안드레아 파롤린 자코브스키 박사(Andrea P. Jackowski)는 "여성의 아동기 외상이 단지 개인의 정신 건강에 그치지 않고, 차세대 자녀의 대사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"라고 설명했다. 이어 "임신 전후 정신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이유"라며, "트라우마 경험은 코르티솔 분비, 뇌 발달, 성별에 따른 태내 반응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작용할 수 있다"고 덧붙였다. 이번 연구 결과(Sex-specific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childhood adversities and offspring's weight gain in a Brazilian cohort, 브라질 집단에서 모성 유년기 역경과 자녀 체중 증가 간의 성별별 연관성)는 지난 1월 국제학술지 '사이언티픽 리포트(Scientific Reports)'에 게재되었다.
|